이건희 컬렉션에 소장되어 있는 한국화 <이상범>


청전(靑田) 이상범(李象範)

(1897~1972)


산가청류 (山家淸流),1960, 종이에 수묵담채, 63 x 129 cm (Frame: 87 x 165 cm)

미술 시장에서 색면추상의 열풍과 비비드한 컬러의 가전 제품까지 다채로운 색상은 이제 우리 일상 속에 깊숙이 들어와있다. 이렇게 일상을 바꾸는 색의 유혹 속에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청전(靑田) 이상범(李相範, 1897-1972)의 수묵 산수화는 남다른 깊이로 우리를 관조의 길로 들어서게 한다.

높이 솟은 미루나무, 잔잔히 일렁이는 개울의 물결, 그리고 굽은 허리에 지게를 지고 집으로 향하는 촌부의 모습은 오직 점과 선 그리고 흑백으로만 표현되었을 뿐인데, 그 어떤 다채로운 색상의 풍경화보다 강렬하다. 겸재 정선(1676-1759), 단원 김홍도(1745-1806) 이후 한국 미술을 대표하는 국민작가로 불리는 청전 이상범은 청전양식(靑田樣式)이라 불리는 한국 산수의 전형을 창조한 근현대 작가로 우뚝 서 있다.

이상범설경도종이에 먹_29×82cm_20세기 초 © 한원미술관

흑과 백, 즉 수묵의 깊이와 번짐이라는 축적된 질감으로 표현된 청전의 산수화는 촌부의 소박한 삶이라는 단조로운 소재를 아주 간결한 구도로 그려냈지만, 잊혀진 것들을 우리 마음속에 저장하게 하는 농축된 감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묵을 통해 한국적 미감(美感)의 독창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 그의 작품은 이건희 콜렉션 등 국 내/외 유명 소장가들이 소장하고 있다.

이상범, 무릉도원, 1922, 108.6 x 390cm), 국립현대미술관

“만약 뉴욕의 모던아트 뮤지엄(Modern Art Museum, New York)이나 런던의 테이트 모던(Tate Modern, London), 파리의 퐁피두 센터(Centre Georges-Pompidou, Paris)에서 전시 할 20세기 우리 미술의 대표 선수를 고른다면 누가 될까? 이 질문에 대해 나는 한국화에서 청전, 그리고 양화에서 박수근일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을 내린다.”

유홍준 교수 인터뷰, 동아일보

“청전은 한국의 평범한 서민들의 소박한 삶의 모습을 통하여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이룩하고, 이를 특유의 한국적 감성과 미의 세계로 정형화시킨 그의 예술적 생명력은 한국화의 한 결정체이다.”

이경성(1919-2009),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 아주경제

청전의 작품들은 은은하고 소박한 서정미가 뛰어나다고 주로 평가받고 있지만, 시선을 고정하고 작품을 근거리에서 바라보게 되면 그의 작품 속에는 강한 율동미가 살아 있음을 보게 된다. 경쾌하고 빠른 붓질에서 느껴지는 개울가 물결의 속도감과 시원함,느린 속도의 강한 획으로 표현된 야산의 거친 잡목과 성긴 수풀들의 풍성함, 사뿐 사뿐하는 붓질로 표현된 미루나무 잔가지의 나풀거림. 그렇게 우리의 눈은 청전의 풍경을 관조하고, 우리의 몸은 청전 풍경 속의 다이나믹한 리듬과 함께 그루브(Groove)하게 움직인다.

청전 이상범의 수묵산수화가 연상되는 BTS의 ‘풍경’.
K-POP, K-CULTURE, K-ART 등 문화 예술 전반에서 한국적 시각, 한국적 미감(美感)은 이제 글로벌 무대에서 동경과 우상의 대상으로 자리잡고 있다. 색보다는 흑묵이 중심이 되는 수목화에 담은 청전의 고고한 한국적 서정성과 작가가 작품에 담고자 한 삶에 대한 서사적 스토리가 K-POP의 다이나믹 한 비트와 선율로, K-MOVIE의 스토리로, 그리고 축적된 K-ART의 독창성으로 재탄생하기를 기대한다.

이것이 한평생 수묵 산수화를 고집해온 청전 이상범이 꿈꾸어 온 K-Renaissance 일 것이다.

BTS V- 풍경 (Scenery) MV scenerydrawing #sceneryart #scenerymandala

산가청류 (山家淸流)

산가청류 (山家淸流),1960, 종이에 수묵담채, 63 x 129 cm (Frame: 87 x 165 cm)

산가청류 (山家淸流),1960
종이에 수묵담채
63 x 129 cm (Frame: 87 x 165 cm)

Collector’s View
“이 작품을 처음 보았을 때 나는 느꼈어요. 내가 이 그림을 찾아 온 게 아니라, 이 그림이 나를 찾아온거라고. 마치 집을 떠난 자식이 오랜만에 집에 돌아온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청전 이상범은 늘 그랬어요. 한국의 화가는 한국인의 혼과 정신이 들어간 우리의 정서가 가득한 그림을 그려야 된다고 하면서 평생 우리 자연의 아름다움과 서민의 삶이 깃들어 있는 그렸다고 해요. 이 그림은 청전의 작품 중에서도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히는 1960년 대작인데, 볼때마다 그림속에 깊이 빠져들게 됩니다. 허리가 굽은 아버지가 짐을 지고 개울을 건너 오두막집을 지키고 있는 어머니를 찾아시는 모습에 영원한 향수를 느끼게 됩니다. 일흔이 넘은 제가 부모님 생각에 마음이 뭉클하면서도 또 푸근해집니다.”

*작품 구매/ 대여 관련하여 궁금하신 분들은 H alliance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글 Ⅰ에이치 얼라이언스
작품 문의 Ⅰsylvia@h-alliance.com

Scroll to Top